이해하는데 꽤 오래 걸렸다. dp를 대각선으로 그려야 답을 구할 수 있는 문제로 아주 신박하고 연습이 필요한 문제일 것 같다. dp[i][i+j]로 놓고 i를 증가시키면 양쪽이 1,1씩 증가해 대각선 배열을 먼저 연산 할 수 있으며 j가 늘어나면 가운데 대각선에서 한칸 더 멀어진 배열을 연산하게 되는 식이다. 즉 2개씩 묶은 행렬을 계산하고(AB,BC,CD,CE) 그 값을 가지고 3개씩 묶은 행렬을 계산. min(AB*C or A*BC) 그걸 가지고 4개씩 묶은 행렬을 계산min(A*BCD,AB*CD,ABC*D) N*N 인접 행렬에서 대각선으로 배열을 채우는법을 이해할 수 있었고 차후 다른 문제에서도 쓸만한아이디어인 것 같다. 행렬의 곱셈이 이루어지는 숫자는 [앞행렬의 행값 * 앞행렬의 열값(==뒷행렬의..